우리 말 호칭의 문란성
권영상
나는 지금도 학교나 동네 선배, 또는 윗사람을 형이나 형님으로 부르지 않는다. 친형에게 쓰는 호칭을 다른 손위 남자들에게 쓰는 게 싫기 때문이다. 그런 탓에 아무나 보고 형! 형! 하거나 형님! 형님! 하는 이들이 의아하다.
우리 말 호칭을 들여다보면 의아한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서방님이란 호칭은 기본적으로 지어미가 지아비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그런데 이 호칭을 지아비의 다른 형제나 4,6,8촌 형제들에게도 두루 쓴다. ‘당신’이나 ‘여보’라는 호칭도 그렇다. 이 말도 기본적으론 부부가 상대방을 지칭하거나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근데 어찌된 일인지 이 호칭도 일반사람을 부를 때 두루 쓰고 있다.
뭔가 좀 문란해 보이지 않는가. 부부간에 쓰이는 호칭을 왜 타인에게도 쓸까. 일반적으로 두루 쓰이던 ‘여보, 당신’이 부부 관계 속으로 들어온 건지, 부부 사이에 쓰이던 호칭이 가정 밖으로 나가 두루 쓰였는지 알 수는 없다. 공동체 대가족 문화가 만들어낸 이해 못할 습성 때문이 아닐까. 그 때문인지 ‘여보’와 ‘당신’이라는 호칭은 지금은 부부 사이에만 쓰이고, 제 3자에게 쓰이던 ‘당신’이나 ‘여보’는 사멸되고 있다. 혹 쓰인다 해도 남을 비하하거나 시비를 거는 말쯤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의문스러운 호칭은 여전히 많다.
‘할머니’, ‘할아버지’, ‘언니’, ‘오빠’, ‘이모’, ‘삼촌’, ‘아저씨’, ‘아가씨’ 등이다.
‘아저씨’나 ‘아가씨’라는 호칭을 보자. 삼촌을 지칭하는 아저씨는 혈연관계가 없는 외간 남자를 부를 때에도 쓰인다. 손아래 시누이인 아가씨도 일반의 젊은 처녀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우리말의 호칭어가 빈곤해서인가. 어떻든 고령화 시대를 만나면서 연세 많은 외부인을 지칭하는 ‘할머니’, ‘할아버지’는 다행히 '어르신'으로 바뀌고 있다. 아저씨라는 호칭은 '삼춘'으로 부르거나 '사장님' 또는 '선생님'으로 바뀌고 있다. 이제 아저씨라는 호칭은 어린아이들이 나 많은 이를 부르거나 또는 나 많은 이가 하대랄 때나 쓰인다. '아가씨'도 산업화의 길목을 건너면서 ‘유흥가에서 일하는 여자’라는 나쁜 의미의 덧칠이 씌워져 거의 죽은 말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들어 갑작스레 두루 쓰이는 가족 호칭이 있다. ‘언니’, ‘이모’, ‘삼촌’이다. 이 호칭들은 주로 음식점이나 물건을 파는 매장 등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에게 쓰인다. 종업원! 하고 부르기엔 뭣한, 인격적 배려 때문에 생겨난 호칭 같다. 우리 사회에 팽배해있는 계급문화나 부의 불평등을 가족공동체 호칭으로 껴안아 보려는 심리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러나 '오빠'를 가져다 남편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는 심리는 모르겠다. 결혼은 했지만 아직도 연애 중이라는 단맛을 계속 누리겠다는 뜻일까. 호칭 중에서도 매우 부적절하고 음란한 호칭이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는 예다.
‘서방님’이란 말이 그렇듯 ‘형수님’이란 호칭도 친형의 부인에게만 쓰이지 않는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한두 번 만나 술이라도 한잔한 ‘형’의 아내에게도 똑 같이 쓰인다. 또한 이 땅의 모든 젊은 남녀는 우리의 형이며 언니이며 이모이며 삼촌이다. 그러기에 아내를 지칭하는 집사람은 ‘저의 집사람’이 아니고 만인이 공유하는 ‘우리 집사람’이고, 남편은 '우리 남편'이다.
우리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는 혈연성 때문일까? 어쩐지 좀 위태롭다.
'오동나무가 쓰는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집 (0) | 2017.08.21 |
---|---|
소나기 내리는 가을 기척 (0) | 2017.08.19 |
어머니가 주신 꽃 한 송이 (0) | 2017.08.03 |
삼포에서 그 섬을 만나고 싶다 (0) | 2017.07.29 |
시대와 멀어지지 않기 위하여 (0) | 2017.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