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씨 온상에 꽃씨를 심고
권영상
지난 2일 꽃씨를 심었습니다.
작년 가을에 안성에 내려와 살기 시작했으니 그때는 꽃을 심기 어려웠지요. 그 대신 여기 저기 다니면서 꽃씨를 받아두었지요. 주머니에 휴지가 있으면 휴지에다 받고, 물건을 사고 받은 영수증이 집히면 영수증에다 받았지요. 그도저도 정 없으면 깻잎이나 풀잎으로 받아 풀대궁이로 둘둘 감아왔지요.
그걸 모두 꺼내 큼직한 봉투에 담아들고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안성으로 내려왔습니다. 오는 길에 백암시장에 들러 온상을 만들 비닐과 철주를 샀습니다. 텃밭 양지쪽에 꽃씨 온상을 만들 생각입니다. 잘 키워 집 앞이며 길 옆, 바위틈에 꽃을 좀 많이 심어보고 싶었습니다.
가끔 고향집에 내려가면 집으로 들어가는 길 양쪽에 피어있는 금잔화를 닮은 프렌치메리골드가 늘 내 눈길을 끌었습니다. 지치지 않고 피는 그 노랑과 빨강의 강열한 빛깔이 나는 좋았지요.
‘나도 시골에 집 하나 생기면.........’
꽃길을 걸어 들어갈 때 엉뚱하게도 그런 생각을 했댔습니다. 그 자극적인 꽃빛깔이 땅을 갖고 싶은 유혹을 불러일으킨 걸까요? 정말이지 너무도 운 좋게 퇴직을 하자마자 안성에 텃밭이 있는 집 한 채를 구했습니다.
그 집에 프렌치메리골드를 가득히 심어보고 싶었습니다.
오랫동안 도회의 삶을 살며 나는 어느덧 인생의 나이를 충분히 먹었습니다. 그런 내게 꽃씨를 심으려는 순정이 남아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4월은 지치고 무뎌진 내 육신에 촛불 하나를 밝힙니다. 도회의 빌딩 숲을 돌아나오느라 등이 굽은 내 영혼을 촛불빛으로 흔들어 깨웁니다. 잠든 대지를 깨우듯 4월은 덤덤한 나를 깨워 내 안을 밝혀줍니다. 나는 그 촛불 같은 내 안의 불빛을 따라 꽃씨 한 봉지를 들고 고속도로를 달려왔습니다.
안성에 도착하는 대로 텃밭으로 갔습니다. 텃밭엔 지난 늦가을에 심은 마늘이 파랗게 크고 있습니다. 그 마늘밭 곁에 꽃씨 온상을 만들고, 서울서 가져온 꽃씨 봉투를 열었습니다. 참 꽃씨가 많기도 합니다.
프렌치메리골드며 분꽃, 맨드라미씨도 있고, 채송화, 작약 씨앗도 여섯 개 있습니다. ‘용인 친구 집에서’라고 적힌 금어초 씨앗도 있고, ‘형수님 댁 마당에 피는 보라색 키 큰 꽃’이라고 적힌 이름 모를 꽃씨도 있습니다. 아내가 제 직장에서 얻어온 빨간 꽈리, 딸아이가 내 생일 선물로 사준 접시꽃씨, 그리고 여기저기서 받아둔 나팔꽃씨, 키 큰 민들레꽃씨, 박주가리씨.......
나는 한 줄 꽃씨를 뿌리고는 옆에 놓은 메모지에 순서대로 꽃씨 이름을 적고, 또 적고 하면서 심었습니다. 나이 먹은 내 손이 요렇게 호사를 합니다. 주름살 진 손으로 이렇게나 예쁜 꽃씨를 집어 뿌릴 줄 누가 알았겠나요. 반짝이는 맨드라미 씨앗, 먼 별씨 같은 채송화 씨앗, 향수 분꽃을 피우는 눈이 똘망똘망한 깜장 분꽃씨들..........
작은 꽃씨들이 자꾸 내 손에 헛집혔지만 나는 공들여 햇빛이 묻은 이 반짝이는 씨앗을 흙속에 떨어뜨렸지요. 내 몸에 꽃씨를 심듯, 4월을 심듯 허리를 바짝 숙여 다문다문 뿌렸지요.
다 심고는 물뿌리개에 물을 담아와 땅이 흠뻑 젖도록 주었습니다. 그러고는 철주를 둥글게 박고 비닐을 씌웠지요. 비닐을 덮고 나니 또 그 안이 궁금합니다. 나는 일어나지 못하고 몇 번이나 그 안을 들여다봤습니다. 한 시간쯤 뒤에 또 가 또 들여다보고, 저녁 무렵에 또 찾아가 두 손을 동그랗게 맞대어 눈가에 대고 비닐 속을 들여다봤습니다. 금방 뭔 일이라도 일어날 것 같은 기다림이 그 안에 있었습니다.
“밤이 추울 텐데 참고 잘 자렴.”
나는 그 말을 하고야 거실에 들어와 저녁을 차렸지요.
그렇게 사흘을 돌보다가 토요일에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서울에는 또 서울에 두고 온, 먹고 사는 것에 관한 일이 있으니까요. 나흘을 자고나니 견딜 수 없었습니다. 안성에 심어놓은 꽃씨가 궁금했습니다. 비닐 속 흙이 말라버렸다면 꽃씨는 더 이상 움이 트지 못할 것입니다. 아니 벌써 꽃씨가 나왔다면 높은 온도 때문에 자라도 한 뼘 넘게 웃자라 있을 것 같았습니다.
“병이 나도 단단히 났네.”
아내가 얼른 안성에 가보라고 합니다.
아내 보기에도 내 얼굴에 근심이 가득했나 봅니다.
나는 만사를 제쳐놓고 4월의 길을 달렸습니다. 꽃씨들이 모두 말라버렸을 것 같아 편하게 듣던 FM도 껐습니다. 휴게소에 들러 커피를 마시던 일도 그만 두었습니다.
부랴부랴 안성 집에 도착했습니다.
꽃씨 온상으로 달려가 비닐부터 걷었습니다.
더운 온기가 확 끼쳐 나옵니다. 천만다행입니다. 내 걱정과 달리 온상 안은 촉촉합니다. 그 사이 해바라기씨 열세 개가 돋았습니다. 맨드라미가 빨간 몸을 내놓았습니다. 더러더러 꽃씨 순인지 풀씨 순인지 모를 것들이 나와 있습니다.
물을 흠뻑 주고 혼자 마당의자에 와 앉았습니다.
아직 안성 사람들이 짓는 농토엔 봄이 멀었습니다. 집 앞 호밀밭의 호밀도 지난 겨울에 자란 그 키 그대로입니다. 늘 시간표에 맞추어 살아온 나의 오래된 습관을 생각해 봅니다. 나는 매일 시간 단위로, 아니 때로는 분 단위로 시간표에 대느라 허겁지겁 살았습니다. 그런 내가 오늘 이토록 천천히 흘러가는 자연의 시간에 크게 조롱당한 느낌입니다. 대지가 가까운 곳에서는 시간이 아니라 세월이 느긋이 흐르고 있음을 발견합니다.
'오동나무가 쓰는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인 나는 그게 부끄럽다 (0) | 2014.04.22 |
---|---|
칠곡 계모 사건에 휘둘리는 호들갑 (0) | 2014.04.14 |
독수리가 일러준 생의 비밀 (0) | 2014.04.05 |
라디오 주파수를 맞추면서 (0) | 2014.03.31 |
나는 내게 몇 점이나 줄 수 있나 (0)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