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나무가 쓰는 산문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사는가

권영상 2012. 8. 23. 10:46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사는가

                       권 영 상

 

 

 

우편물을 부치러 우체국에 들렀다가 그 길로 이천행 버스를 탔다.

16년 전,이천에서도 버스로 꽤나 들어가는 시골학교에 나는 잠시 머무른 적이 있다. 그곳이 가끔은 자꾸 그리웠다. 그러나 찾아간 시골마을은 내 기억 속의 마을이 아니었다. 아파트도 들어섰고, 면사무소는 잔뜩 위용을 갖춘 3층빌딩으로 바뀌어 있었다. 예전에 즐겨 가던 대폿집과 늘상 점심을 먹던 식당을 찾았지만 모두 사라지고 없었다. 잠시 근무하던 학교도 많이 변해 있었다.

 


나는 그 예전, 체육시간이면 아이들과 함께 곧잘 가던 개울가를 찾았다.

개울둑의 느티나무만이 홀로 나를 반겼다. 예전 같으면 아이들로 붐볐을 개울도 싱겁게 누워 있었다.

그 때다. 건너편 개울둑 너머에서 올라온 발가벗은 아이 하나가 이쪽 개울물로 덤벼들었다. 그 뒤를 따라 아이의 엄마임직한, 바구니를 들고 차양이 긴 모자를 쓴 여인도 개울물에 들어섰다. 여인은 아이의 손목을 잡아 얼굴을 씻기고 등허리며 다리를 씻긴다.

그러더니 아이와 함께 내 곁을 슬몃 지나갔다. 옥수수와 뭉툭한 가지를 따 담은 바구니를 힘겹게 옆구리에 낀 채로.

 

 

몇걸음을 가던 여인이 모자를 벗고 되돌아섰다.
"저, 혹시..."

그렇게 말하는 여인의 입 모양이 어디서 본 듯했다.

그 아이였다.

여인은 내게 부끄러운 듯 "저, 옥자라고 아세요?"그랬다.

맞았다. 대숲집 옥자였다.

 

"선생님 미안해요."
어리둥절해하는 내게 그 옥자가 지난 시절 이야기를 꺼냈다.

"선생님께서는 저에게 책을 읽히고 나면 늘 그러셨지요. 목소리와 입 모양이 참 이쁘다구. 그러며 절 보고 뭐라하셨는지 아세요? 아나운서감이라 하셨어요."

말을 마치고 옥자가 피식 웃었다. 서른이 넘은, 시골 아낙이 된 자신이 부끄럽다는 웃음 같았다.

"요즘도 뉴스를 볼때면 가끔 선생님 생각을 해요."

 

논밭 사잇길을 걸어 마을로 돌아오면서 이번에는 내가 부끄러웠다. 당당히 농부의 아내가 되지 못하게 한 게 내 책임 같았다. 그 동안 옥자는 어쩌면 현실을 살면서 또한 구름 위의 꿈을 살아왔을지도 모른다.
"내가 말을 아무렇게나 했구나."

나의 미안함에 옥자가 야무지게 대답했다.

"지금은 농사일을 하겠지만 다음에는 꼭 아나운서 할 거예요."

"다음이라니 언제?"

"다시 태어나면요."

옥자가 당돌하게 말했다.

 

나는 옛 제자인 어른이 된 옥자와 이야기를 하며 마을 한길에 들어섰다.

옥자가 아들의 손을 잡고 내게 작별 인사를 했다.

나도 인사를 하고 돌아섰다.

돌아서며 마음 속으로 다음에는 꼭 아나운서가 되길 빌었다.  그러면서 나는 웃었다. 다음에, 대체 다음에 언제 다시 태어나 아나운서가 된단 말인가. 그때가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옥자에겐 그때가 있어 지금을 잘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사는가.

나는 그날, 버스를 타고 돌아오면서 내내 그 생각을 했다.

 

권영상 산문집 <뒤에서는 기쁨>(좋은 생각사) 중에서